전문가의 고견을 위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이길영 댓글 16건 조회 1,228회 작성일 06-04-01 00:45본문
한우영님께서 다른 사진을 올려 판단해보자시기에
적절한 방이 없어 이 방에 사진을 올려봅니다.
제가 동정키를 잘 몰라 그런 자료사진을 잘 찍지 못해
이 사진으로 선괭이눈인지 판단이 되려는지 모르겠습니다.
이 사진으로도 어려우시다면 그리 먼 곳이 아니니
털괭이눈과 선괭이눈을 다시 담아와 보겠습니다.
댓글목록
한우영님의 댓글
한우영 작성일저도 선괭이눈에 가장 근접한 것으로 생각합니다~!!
한우영님의 댓글
한우영 작성일그런데 수술이 몇개인가요? 설마 4개는 아니겠죠~!!
이길영님의 댓글
이길영 작성일수술이 명확히 보이지 않아 줄이지 않은 큰 사진을 보니 네개가 많고 다섯 개,여섯 개, 아홉개 짜리 등이 보이는군요.수술이 네 개면 종류가 다른 녀석인가요?
한우영님의 댓글
한우영 작성일우리나라엔 수술 4개 짜리가 없고 모두 8개라고 하다군요~!! 일본엔 있어요~!! 걍 괭이눈이 수술이 4개라고 하다군요~!!
박희진님의 댓글
박희진 작성일괭이눈도 어려워요..ㅎㅎ
이이재님의 댓글
이이재 작성일우잉? 정말 어려워지는군요. 그냥 괭이눈이라고 통털어 부른다면 얼마나 좋을까했다가도 이렇게 자세한 정보를 보면, 눈이 확 열리곤 합니다. 그래서 전문성을 높이 사는 걸 모르지 않으면서...히힛~/괭이눈에 네 개의 수술이 있다면 어떻게 분류가 되나요? 더구나 우리 나라엔 없다니...!!
신흥균님의 댓글
신흥균 작성일4개의 수술이 있다면...큰 발견을 하시는거지요~ 일본에만 있다는 괭이눈(Chrysosplenium grayanum)이니까요...근데 이창복님, 이영로님, 현진오님, 윤주복님..과 산림청의 국가생물종정보에서는 있는 것으로 분류 되어 있고요...한림대학교 김영동선생님만이 없다고 하시고...참말로 미치고 팔짝 뛰겠어요~ㅠㅠ 그러면 있다는 소리 아닌가요?
신흥균님의 댓글
신흥균 작성일한림대 김영동님은 바위괭이눈도 우리나라에 없다고 하십니다... 오대산괭이눈은 오대산엔 없고 함북지방과 시베리아 있으니 시베리아괭이눈이라고 해야 한답니다...또한 누른괭이눈이라고 우리나라 특산종이 있다고 하시네요~ 위에 올리신 괭이눈은 저두 선괭이눈에 가장 근접하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이길영님의 댓글
이길영 작성일수술이 몇개인지가 중요한 포인트인 것 같아 사진을 더 확대해 보니 대부분 8개의 수술이 있네요.질서정연한 배열은 몇 안되고 원을 그리지만 질서가 깨진 배열이 많군요.괭이눈도 상당히 어려운 녀석인 건 들었지만 도감이나 전문 서적도 의견이 다르고 신뢰도가 높은 저자의 책도 실제와 상당히 다른 경우가 많아 매우 어렵겠네요.제법 큰 괭이눈의 군락지를 만났는데 몇 가지가 마구 섞여있는 듯 하지만 주로 털괭이눈과 선괭이눈들로 보였습니다.직접 답사하고 싶은 분이 오신다면 제 초막에서 그리 멀지 않으니 안내해 드릴 수 있습니다.
한우영님의 댓글
한우영 작성일남한에 털괭이눈( C. pilosum )이 자생하는지 고민스럽습니다~!! 혹시 털괭이눈의 변종들만 자생하는 것 아닌가 엉뚱한(?) 생각도 합니다~!!
신흥균님의 댓글
신흥균 작성일그러기에 현진오님은 털괭이눈은 없다!!! 라고 하시는게지요~
한우영님의 댓글
한우영 작성일현진오박사가 그렇게 말하던가요? 그럼 고민꺼리 하나 줄었습니다~!!
신흥균님의 댓글
신흥균 작성일에구...저는 고민거리가 줄기는 커녕 더 늘어요~ 국가표준목록에 맞추려고 하니...영 알맞게 정리가 않됩니다... 그러니 우리 홈에 올라온 괭이눈속 식물들 이름을 어찌 교통정리를해야 할지....난감합니다.
신흥균님의 댓글
신흥균 작성일또 다른 고민거리는 괭이눈은 분명 수술이 4개라고 도감 마다 수록 되어 있는데...우리나라 각 연구소나 대학 등에서 보관하고 있는 표본 중에 괭이눈이 무척 많다는 것입니다...그러면 그들은 수술이 4개라는 것을 모르고 그리 보존을 하고 있을까요? 참 미치고 환장 하겠습니다.
이길영님의 댓글
이길영 작성일제가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도감인 이창복 도감에는 털괭이눈이 우리나라에 있다고 하며 산괭이눈,오대산괭이눈과 비슷하다고 기술하고 있고, 선괭이눈이 바위괭이눈과 비슷하다고 기술하고 있으며,괭이눈도 산지의 습지에 분포한다고 기록하고 있으며, 분포지역은 도감의 기록과 현실이 많이 다른 것 같아 매우 혼란스럽습니다.
김종건님의 댓글
김종건 작성일다시 정리해야할 것들이 많습니다.